트라우마란 직접 경험하거나 목격한 위험하고 해로운 사건 자체에 의한 충격을 의미한다. 트라우마의 지속 기간과 정도는 개인별로 편차가 크고 제때 치료하지 않으면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 조현병 등 질환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후유증은 수년이 지난 후에도 발병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트라우마가 발생하면 이를 극복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스트레스 조절 안되는 머릿속, 트라우마의 원인트라우마는 일반적으로 학대, 사고나 부상, 재해, 따돌림, 범죄 피해 등 일반적인 스트레스의 범주를 넘어 안전에 위협이 될만한 사건을 겪었을 때 촉발된다. 이때 스트레스를 조절하는 ‘편도’, ‘해마’, ‘전두엽 피질’이 정상적으로 작용하지 않으면서 발생한다. 편도는 감정을 인지하고 조절하는 데 도움을 주는 기관으로 트라우마적 사건을 경험하면 당시의 감정이 편도 속에 남는다. 이후 사건을 상기하는 자극이 생기면 편도체가 과도하게 작동하고, 피해자는 사건을 경험하고 있는 것처럼 반응한다. 이때 기억과 학습을 관장하는 해마가 과거와 현재의 경험을 구별해 준다. 그러나 트라우마가 발현되면 해마의 활동이 감소해 이를 구별하지 못하고, 사건이 떠오르는 모든 자극을 위험으로 인식한다. 위험을 느끼면 전두엽 피질이 두려움과 같은 부정적인 감정에 대해 적절히 대응해야 한다. 하지만 트라우마를 경험하면 이 기능이 억제돼 두려움을 통제할 수 없게 된다.
몸도 마음도 아픈 트라우마, ptsd의 원인트라우마를 경험하면 당시에 느꼈던 부정적 감정에 그런 일이 또 발생할 것이라는 생각이 더해지거나, 사건이 계속 떠오르면서 정서적, 신체적 건강에 문제가 생긴다. 극도의 긴장 상태를 유지해 △두통 △소화불량 △식욕부진 △손발 저림 △피로감 △빈맥 등 여러 신체 증상과 △기분의 급변 △신경과민 △집중력 저하 △불면과 같은 심리적 각성이 나타난다. 만약 다음과 같은 증상이 2가지 이상 한 달 넘게 계속되면 트라우마가 ptsd로 발전했을 가능성이 있다. ptsd는 불안장애와 같은 정신적 질환 외에도 당뇨병이나 고혈압 등의 질병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하다.
1. 사건에 관한 악몽을 꾸거나, 생각하고 싶지 않은데도 떠오른 적이 있다.
2. 외상 사건에 대해 생각하지 않으려고 애쓰거나 사건이 떠오르게 하는 상황을 피하기 위해 특별히 노력한다.
3. 늘 주변을 살피고 경계하거나, 쉽게 놀란다.
4. 다른 사람, 일상 활동, 또는 주변 상황에 대한 느낌이 없어지거나 멀어진 느낌이 든다.
5. 외상 사건으로 인해 생긴 문제에 대해 죄책감을 느끼거나 자기 자신이나 다른 사람에 대한 원망을 멈출 수가 없다.
불안감 없애려면 스스로도 “토닥토닥”트라우마를 극복하는 방법은 스스로의 노력과 전문가의 정신 치료, 약물 치료 등이 있다. 트라우마가 완화되면 어려운 사건을 경험한 이후 오히려 정신적 성장을 하는 ‘외상 후 성장(post-traumatic growth)'이 나타날 수 있다. 이는 트라우마 치료의 궁극적인 목표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외상이 저절로 완화되는 경우도 있지만, 일반적으로 트라우마 극복을 위해서는 노력이 필요하다. 사건에 대한 기억이 떠오르면 몸을 움직이거나 다른 사람들과 대화를 하면서 생각에 깊이 빠지지 않는 것이 좋다. 증상이 어느 정도 호전되면 두려움을 느끼는 자극에 자신을 조금씩 노출시키는 것도 도움이 된다. 다만 술을 마시는 것은 피해야 한다. 반복적인 음주는 불안, 불면 등 다양한 문제를 악화시키기 때문이다.국가트라우마센터에서는 △심호흡 △복식호흡 △착지법 △나비 포옹법 등이 불안감을 더는 데에 도움이 된다고 조언한다. 착지법은 발꿈치를 들었다가 땅에 발을 내려놓으며 현실을 인지하는 방법이다. 나비 포옹법은 긴장감이나 괴로움이 느껴질 때 자신의 몸을 스스로 두드려주는 방법으로, 양측 팔뚝에 손을 교차시켜 올리고 나비가 날갯짓을 하듯 가볍게 15번 정도 두드리면 된다. 전문가의 정신 치료 과정은 대체로 안정화, 기억의 처리, 통합의 3단계로 나뉜다. 안정화 단계에서는 더 이상 자신이 위험한 상황에 처해있지 않다는 인식을 갖는다. 기억의 처리 단계에서는 가장 고통스러운 기억을 반복해 떠올리며 사건에 대한 감각을 둔화하는 ‘노출 치료’를 주로 실시한다. 오랜 시간 회피로 인해 억눌려 있던 트라우마에는 눈의 움직임을 통해 고통과 긴장을 완화하는 ‘안구운동 민감소실 및 재처리요법(emdr)’이 효과적이다. 마지막 통합 단계에서는 피해자의 사회 재적응을 돕는다. 환자의 자율성을 향상하고 정서 조절 역량을 강화하는데, 이때 환자가 삶에 대해 긍정적인 평가를 하면서 외상 후 성장이 이뤄진다.